본문 바로가기
  • 또 다른 시선으로 Another View
Entertainment/방송

라돈 아파트 추적60분 고발, 웃는 건설사 뒷짐 진 해당 부처

by 조각창 2019. 4. 20.
728x90
반응형

라돈 공포가 극심한 상황에서도 라돈 아파트는 계속 지어지고 있다. 단순히 화강암에서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아파트 자체를 감싸는 콘크리트에서도 뿜어져 나오고 있다는 사실이 '추적 60분'을 통해 공개되었다. 충격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라돈 박스에 우리가 살고 있다는 의미다.

 

무색무취인 라돈은 측정기가 아니면 측정할 수 없다. 지난해 라돈 침대 논란으로 우리 사회는 홍역을 치렀다. 여전히 생활 속 곳곳에 라돈 공포가 도사리고 있다. 라돈은 자연에 존재하는 방사능이다. 어느 곳이나 라돈은 미량이라도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한반도는 화강암이 많아 라돈도 그만큼 많다고 한다. 문제는 그렇다고 라돈 사태를 방치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미국 등지에서는 라돈에 대해 철저하다.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발생하면 관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조처를 해야 한다. 땅속 라돈을 빼내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미국은 더욱 강력하게 집을 매매하기 위해서는 라돈 측정 값도 주어져야 한다. 이 정도면 얼마나 철저하게 라돈을 관리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지금 당장 우리가 미국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다만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기준을 정해 더는 라돈 공포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19일 방송된 KBS1 '추적 60분'은 '끝나지 않은 라돈의 공포, 아파트를 덮치다' 편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된 A 신축 아파트를 파헤쳤다. 지난해에도 유명 브랜드 아파트의 라돈 파동은 큰 논란이기도 했었다. A아파트 주민들은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됐다며 건설사를 상대로 자재 교체 요구에 나섰다. 실제로 라돈 검출 수치 200 베크럴의 4배가 넘는 851 베크럴의 라돈이 검출됐다. 

 

"라돈에 대해 문제가 있다, 사실 우리는 문제가 있다고 보지 않는다. 생각의 차이지만. 라돈이 인체에 유해하다? 근데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쳐서 문제가 생긴다는 정식 발표는 못 봤다. 지금은 점점 더 심증이 굳어지고 있다"

 

라돈이 엄청난 수치로 나온 상황에서도 건설사 관계자는 라돈이 무슨 유해한 물질이냐며 오히려 아파트 주민들에게 지적하기 바빴다. 전세계에서 유해한 발암물질이라고 정해진 상황에서 해당 건설사 관계자 만은 라돈이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 황당한 주장에 입주민은 "건설사 대표로 얘기하는 거냐"고 물었고 건설사 관계자는 "그렇다"라고 답했다. 경악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어떤 교수가 라돈이 위험하다고 하느냐 따지고 대한의사협회에서도 한마디 안 하고 있다며 라돈은 무해하다고 주장했다. 정말 모르고 하는 소리인지, 입주민을 우습게 보는 것인지 알 수가 없을 정도다. 

 

"라돈이 폐암을 야기한다는 것은 일부 연구자들에게서뿐만 아니라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이미 발표를 했고 잘 알려진 과학적인 근거가 충분한 내용이다"

 

해당 건설사 관계자의 주장이 맞는지 '추적60분'은 대한의사협회의 문의를 했다. 조용민 대한의사협회 환경건강분과 위원은 라돈이 위험한 물질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미 오래전 연구가 끝났고 세계 곳곳에서 라돈 피해와 기준 등이 정해져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사가 보인 행태는 경악스럽기만 하다. 

 

라돈을 다량 방출한다고 의혹을 받았던 화강석을 제거했음에도 일부 아파트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되는 것은 콘크리트에 섞이는 모래가 자갈에서 라돈이 방출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 모든 것은 결국 돈이었다. 건설사들은 폭리를 취하기 위해 라돈이 다량 방출될 위험성이 높은 자재를 사용해왔다.

 

문제는 이를 제대로 감시하고 규제해야 할 정부 부처가 제대로 일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 편에 서서 일을 해야 할 공무원들이 건설사 편에 선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환경부, 국토부, 원자력안전위원회로 세분화되어 제대로 대응도 못하는 한심한 조직부터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는 오는 7월부터 라돈의 권고 기준을 148베크럴로 강화할 것이라는 대책을 내놨지만 기준치를 초과해도 환경부가 건설사에 자재 교체를 요구할 수 있는 등의 법적 권한이 없다. 법적 권한도 없는 규제가 무슨 의미가 있는가? 돈에만 미친 건설사들이 권고 사항을 들을 그 어떤 이유도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라돈은 우리 생활 주변 곳곳에서 끊임없이 생성·분출되는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 방사성 물질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에서 발암물질로 정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암에 걸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파트 공화국인 대한민국에서 건설사들이 이를 무시하고 있는 행태는 국민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감옥을 만드는 것과 다름없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