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또 다른 시선으로 Another View
NongDam

양희은 상록수 광화문 150만 촛불과 함께 목놓아 불렀다

by 조각창 2016. 11. 26.
728x90
반응형

안치환과 양희은이 광화문 광장 공연에 함께 했다. 이들의 참여가 특별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민주화 운동 시절을 경험하고 현재도 투쟁을 하고 있는 가수들이기 때문일 것이다. 안치환은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를 부르며 '사람'대신 '하야'로 촛불과 함께 '하야'를 외쳤다. 


오늘 광화문 광장에서 주최 측 추산 150만의 시민(오후 9시 30분 현재)들이 모였다. 서울에는 오늘 첫 눈이 내렸다. 날씨도 추웠고, 눈이 비가 되며 광장에 나서는 것은 그 어느 때보다 힘들고 어려운 일이었다. 이런 날씨라면 10만도 모이기 어려운 일은 아니냐는 의견들이 나올 정도였다. 


날씨도 국민의 분노를 이길 수는 없었다. 최악의 날씨에도 국민은 굴하지 않았다. 따뜻한 옷을 챙겨 입고, 우비와 우산을 들고 어느 때보다 먼저 광장에 모여들기 시작했다. 비바람이 몰아쳐 촛불이 꺼질까봐 휴대폰으로 LED 촛불로 무장한 국민에게 궂은 날씨 정도는 아무런 의미도 아니었다. 


법원은 청운동 주민센터 앞까지 행진과 시위를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물론 일몰 전까지라고 시간제한을 두기는 했지만 청와대와 200m 앞까지 시위를 허용했다는 사실이 특별함으로 다가올 정도다. 매 주 시위는 청와대와 가까워지고 있다. 그리고 국민은 지금 이시간도 그 차가운 거리에서 '박근혜 퇴진'을 외치고 있다. 


차가운 날씨도 막을 수 없는 국민의 분노는 자연스럽게 우리가 바보라고 이야기했던 한 사람을 떠올리게 한다. 바보 노무현이 만약 지금도 생존해 있었다면 그는 현재 이 모습을 어떻게 바라볼까? 여전히 그의 죽음은 의문이다. 많은 이들이 여전히 타살을 주장하는 이유는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 광장의 문을 연 이들은 뮤지컬 배우들이었다. 레미제라블에서 나왔던 노래를 한국어로 부른 '민중의 노래'로 열었다. 이제는 광장에 모인 이들의 주제가가 되어버린 이 노래는 프랑스 시민혁명을 상징하는 노래이기도 하다. 그리고 안치환이 등장해 자유와 민주주의를 외치며 노래로 하나로 연결했다. 


어쩌면 오늘 공연의 대미라고 할 수 있었던 것은 양희은이었다. 군부 독재 시절 금지곡이었던 '아침이슬'로 모두와 함께 했다. 이 노래를 부르는 것만으로도 잡혀가던 시절. 독재의 대항하는 민주주의의 상징이기도 했던 이 노래를 광장에 모인 100만이 넘는 촛불과 함께 부르는 장면은 장관이었다. 


마지막 곡은 '상록수'였다. 이 노래를 다양한 장면과 기억하는 이들도 많을 것이다. 불굴의 의지를 앞세운 박세리의 그 유명한 양말을 벗는 장면은 마치 한 몸처럼 이어져 많은 이들의 기억에 남겨져 있기도 하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먼저 떠올린다. 


대통령 선거 광고에 출연했던 노무현이 직접 부르던 이 노래는 현재까지도 회자되고 있다. 그리고 이 노래는 그를 떠나보내는 마지막 거리에서도 불려졌다. 그만큼 '상록수'는 양희은이나 박세리를 위한 노래가 아닌 우리가 고인이 된 '바보 노무현'을 기억하게 하는 특별한 노래다. 


100만이 넘는 국민이 촛불을 흔들며 양희은과 함께 부르는 '상록수'는 단순한 노래 그 이상이었다. 그 순간만큼은 그 자리에 마치 '바보 노무현'과 함께 하는 듯한 착각을 느끼게 할 정도였다. 이미 추위도 사라지고 마음껏 소리 내어 부르는 '상록수'에는 그립고 그리운 '바보 노무현'에 대한 그리움이 가득했다. 


이제는 다시 볼 수 없지만 그래서 더욱 그립고 애타고 안타깝지만 그런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뿌듯하다. 이명박근혜 정부를 통해 노무현 정부가 얼마나 대단한 존재였는지 우리는 뼈저리게 깨닫고 있기 때문이다. 상록수를 함께 따라 부르던 150만 광장의 시민들은 그렇게 진정한 대통령을 외치고 있었다. 


                                                                   [글이 마음에 들면 공감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